1. 다음은 가벼운 폐쇄성 상처의 응급처치 순서이다. 맞는 것은?
- 쉬기 → 얼음대기 → 압박하기 → 올려주기
- 얼음대기 → 쉬기 → 올려주기 → 압박하기
- 올려주기 → 얼음대기 → 압박하기 → 쉬기
- 압박하기 → 올려주기 → 쉬기 → 얼음대기
정답 및 해설
정답: 1. 쉬기 → 얼음대기 → 압박하기 → 올려주기
해설: 가벼운 폐쇄성 상처는 멍이 들어가야 하는 것으로 쉬기 → 얼음대기 → 압박하기 → 올려주기의 순서로 응급처치를 하면 됩니다.
2. 심폐소생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가슴을 압박한다.
- 5~6cm 깊이로 가슴을 압박한다.
- 가슴압박 중단은 최소화하며 5주기마다 압박자를 교체한다.
- 심폐소생술은 최초 발견자가 계속 진행한다.
정답 및 해설
정답: 4. 심폐소생술은 최초 발견자가 계속 진행한다.
해설: 심폐소생술은 5주기마다 압박자를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다음은 상처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상처는 개방성상처와 폐쇄성상처가 있다.
- 개방성상처는 베임, 찔림, 절단 등으로 생긴다.
- 폐쇄성상처는 피부 표면이 개방되고 표피에 조직과 혈관이 파손되거나 등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한다.
- 개방성상처는 피부 표면이나 피부 속의 조직이나 혈관이 파손되어 출혈이 보인다.
정답 및 해설
정답: 3. 폐쇄성상처는 피부 표면이 개방되고 표피에 조직과 혈관이 파손되거나 등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한다.
해설: 폐쇄성상처는 피부 표면이 개방되지 않고 표피 아래의 조직과 혈관이 파손되거나, 연조직의 파괴, 내부 조직의 손상 등의 폐쇄된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합니다.
4. 재해발생 4단계 순서로 맞는 것은?
- 현장조사 → 구조요청 → 안정화 → 상태파악 후 조치
- 현장조사 → 구조요청 → 상태파악 후 조치 → 안정화
- 구조요청 → 현장조사 → 상태파악 후 조치 → 안정화
- 현장조사 → 상태파악 후 조치 → 구조요청 → 안정화
정답 및 해설
정답: 2. 현장조사 → 구조요청 → 상태파악 후 조치 → 안정화
해설: 재해가 발생하면 현장조사, 구조요청, 환자 상태 파악 후 조치, 안정화의 순으로 조치합니다.
5. 다음은 어떤 사고에 대한 설명이다. 무엇인가?
손상 정도와 양상에 따라 다양함.
낙상, 뒤집힘, 부딪힘, 감전, 폭발사고, 교통사고 등 거의 모든 사고에 의해 발생함.
처치는 더 이상의 손상을 방지하고 통증을 완화하여 환자를 편안하게 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심근경색
- 골절
- 뇌출혈
- 혈액암
정답 및 해설
정답: 2. 골절
해설: 골절에 대한 설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