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전 안전점검과 TBM 평가시험

1. 다음은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이다. 무엇인가?

작업 현장 근처에서 작업 전에 관리감독자(작업반장, 직장, 팀장 등)를 중심으로 작업자들이 모여 작업의 내용과 안전 작업 절차 등에 대해 서로 확인 및 의논하는 활동을 약칭하는 것입니다. 국내에서는 안전 브리핑,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 안전 조회, 위험예지 훈련으로, 해외에서는 Tool Box Talks, Tool Box Safety training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의 이러한 성격을 고려하여, 실행 시간은 산업안전보건법 상의 안전보건교육 시간으로 인정됩니다.

  1. 안전보건표지
  2. 화재위험 표지
  3. MSDS 경고표시

2. 다음은 TBM의 3단계 단계별 활동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1단계 TBM 사전 준비 단계에서는 작업·공정별로 위험성평가가 실시되어야 합니다.
  2. 2단계 TBM 실행 과정에서 핵심은 작업내용에 대한 중점 위험요인과 대책이 공유되는 것입니다.
  3. 3단계 TBM 환류 조치는 제기된 위험요인에 대한 조치 결과를 작업자에게 피드백하고, 그 결과를 충실하게 기록하고 보고하는 것입니다.

해설
TBM의 3단계 단계별 활동에 4단계는 없습니다.

3. 다음은 급성중독 발생 가능 작업 전 안전 점검 체크리스트이다. 틀린 것은?

  1. 취급하는 화학물질이 어떤 경로(구강, 피부, 호흡기 등)를 통하여 급성독성을 일으키는지 알고 있는가?
  2. 방독마스크는 화학물질 증기에 노출되지 않고 위생적으로 보관되고 있는가?
  3. 국소배기장치나 전체환기장치 등이 설치되어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가?

해설
화재발생 대비 점검은 급성중독 발생 가능 작업과 상관이 없다.

4. 다음은 TBM 3단계 중 2단계 실행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2단계 작업자 건강 상태 확인
  2. 2단계 작업내용 / 위험요인 / 안전 작업절차 / 대책 공유·전달
  3. 2단계 작업자가 TBM 내용을 숙지하였는지 확인

해설
TBM 결과의 충실한 기록·보관은 TBM 3단계 환류조치이다.

5. 다음은 작업 전 안전점검 체계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사업주는 작업 전 안전점검 문화 조성 및 지원
  2. 관리자는 작업의 안전점검 및 개선대책 수립
  3. 근로자는 수행 작업의 위험요인 파악, 보고 및 대응

해설
작업 전 안전점검 체계에는 소비자가 없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